만나면 좋은사람 정책/환경,생태

살아 숨쉬는 자연형 하천 만들기

최준원 2009. 8. 10. 17:40

살아 숨쉬는 자연형 하천 만들기


■ 현 황


양주시는 경기북부지역의 분수령으로 주요하천의 발원지이며 주요수계는 중심하천인 신천과 서쪽의 곡릉천과 문산천, 남측의 중랑천 수계로 분리할 수 있다.


신천은 동두천시를 통해 임진강으로 유입되며, 중랑천은 의정부시와 서울시를 통해 한강으로 흘러가며 곡릉천은 고양시를 통해 파주시를 거쳐 한강하류로 유입되며, 문산천은 파주시 광탄면 파주읍, 광탄면, 월롱면의 경계를 이루면서 마지막으로 문산읍(汶山邑)에서 임진강과 합류한다.


양주시에는 총 9,244개소의 지하수 관점이 있으며, 이 중 생활용이 4,900개소, 농업용이 3,872개소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공업용으로 465개소가 있다.


총 이용량은 21,452,096㎥/년 (58,770㎥/일)이며 생활용과 공업용을 합하면 14,105,937㎥/년(38,510㎥/일)으로 지하수가 양주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관리청에서 관리하는 2개 지점, 경기도에서 관리하는 5개 지점이 수질측정망에 포함되어 있다.<표 3-3-2>


 

<표 3-3-2> 양주시 지하수 이용현황      (단위 : 공, ㎥/년)

읍면동

생활용

공업용

농업용

기타용

공수

이용량

공수

이용량

공수

이용량

공수

이용량

공수

이용량

9,244

21,452,096

4,900

6,722,081

465

7,333,856

3,872

7,321,399

7

74,760

백석읍

642

2,404,355

190

616,667

28

214,295

424

1,573,393

0

0

은현면

1,946

5,143,165

1,029

1,817,601

144

1,348,078

773

1,977,486

0

0

남  면

1,198

3,002,796

689

876,413

83

1,398,635

425

727,748

1

0

광적면

1,326

2,365,123

653

486,336

74

1,186,515

599

692,272

0

0

장흥면

924

1,849,397

741

1,445,407

2

40,150

178

351,130

3

12,710

양주1동

949

802,308

407

173,772

3

92,710

539

535,826

0

0

양주2동

805

1,069,526

448

383,571

12

209,875

342

414,030

3

62,050

회천1동

286

1,519,158

119

330,631

42

897,875

125

290,652

0

0

회천2동

245

1,582,645

121

158,865

39

1,226,990

85

196,790

0

0

회천3동

109

321,977

55

45,564

9

190,533

45

84,880

0

0

회천4동

814

1,391,647

448

386,255

29

528,200

337

477,192

0

0

[자료] : 지하수조사연보(2005)


양주시의 하수도 보급율은 2004년 기준으로 55.7%이고 시가지 지역이 66%로 높은 편이나 장흥면의 경우 하수도가 보급되지 않아 하수가 적절히 처리되지 않는 지역도 있다. 전국 평균 하수도 보급률이 81.4%이고, 경기도의 하수도 보급율이 81.9%인 것을 고려하면 양주시의 하수도 보급율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표 3-3-3>


 <표 3-3-3> 양주시 하수도 보급률

구  분

총인구(인)

하수처리구역인구(인)

하수도보급율(%)

총  계

159,891

89,047

55.7

회천1,2,3,4동 양주1,2동

92,367

60,983

66.0

백석읍

25,818

15,283

59.2

은현면

9,551

2,878

30.1

남  면

9,174

5,653

61.6

광적면

12,166

4,250

34.9

장흥면

10,815

0

0

[자료] : 2004 하수도 통계(2005)

 

또한 수질오염원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데 수질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점오염원은 생활계, 산업계, 축산계로 구분할 수 있고, 비점오염원은 토지이용에 의해 발생한다.


먼저 점오염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인간이 배출하는 생활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하수도 보급율을 90%이상으로 올려야 한다. 현재 양주시 하수도 정비계획에서도 이러한 목표를 계획하고 있다. 하수처리 구역에 포함되지 않는 미처리 지역의 경우에는 이들 지역에 단독정화조나 오수처리시설 등을 설치 ․ 운영해 나가야 한다.


현재 경기도에서는 이러한 오수처리시설 등을 지원하기 위해 팔당 상류지역을 대상으로 운영실태 파악 및 기술지원을 위한 시범 사업이 추진 중이므로 양주시에서도 기술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산업폐수의 처리는 폐수 배출업소가 배출량 50㎥/일 이하인 5종이 86%를 차지하고 있어서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들 업소는 검준 지방 산업단지 처럼 집단화시키는 방안과 소규모 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위탁 처리하는 형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양주시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지도단속 업무를 철저히 하여 위반업소에 대해 개선명령, 조업정지, 폐쇄명령 등의 조치를 지속적으로 취해야 한다.


축산폐수는 양주시의 경우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이 없어 소규모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축산폐수 공공처리 시설을 이용하여 적절한 관리를 해야 한다.


비점오염원에서 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합류식 하수처리구역은 점차적으로 오수관거와 우수 관거가 분리 설치되는 분류식 하수처리구역으로 개선하고 강우시 경사지, 나대지 등으로부터 유출하는 오염물질발생 감소를 위하여 해당 토지 또는 그 하단에 식생을 조성한다.


강우시 토양성분 유출이 과다한 지역(나대지, 경사지 등)에서는 강우 유출수를 안전하게 이용 또는 처리할 수 있는 지역으로 물을 우회시킨다. 도시지역의 지표면에 존재하는 비점 오염물질은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강하하여 침전하는 것에도 상당히 기인하므로, 비산먼지 저감, 청정연료 사용화 등 각종 대기오염물질 저감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표 3-3-4> 비점오염원 발생억제 방법

구 분

비점 오염원 발생억제 방법

농업지역

하천둔치지구 및 하천부지에서의 경작을 최대한 억제

비료 ․ 농약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윤작, 순환 경작 등의 영농방식 도입

농업용수 공급을 조정하여 농약․비료가 많이 포함된 농경배수의 하천방류 억제

축산지역

강우유출수가 축사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턱, 도랑 등을 조성

순환 방목과 가축의 수를 조정하여 토양침식을 감소시킴

축분 또는 퇴비가 외부유출이 안되는 구조물에 저장하고,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는 평평한 불투수성 토양지역에 저장

축산분뇨를 초지나 경작지에 살포시에는 작물의 흡수가 최대가 되는 시기를 피하여 살포

사업장

원료․생산품의 사용․보관시 안전사용․보관요령을 준수

용제 보관창고나 작업장을 청결히 유지

공장이나 창고바닥 청소시 물 사용을 최소화

공장의 기계류, 원료 및 중간제품 등은 강우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를 씌워 관리

건설

공사장

건설자재 관리를 철저히 하여 비점오염물질이 되지 않도록 함

건설공사 현장내의 토지형질 변경과 녹지훼손을 최소화

건축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각종 건설자재를 재활용 및 재이용

공사지역으로 외부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우회수로 등을 설치


개선목표 : 살아 숨쉬는 자연형 하천 만들기

   ▷개선목표 1 : 하천과 지하수 수질보전

   ▷개선목표 2 : 지하수 관리체계 구축

   ▷개선목표 3 : 지역문화의 중심이 되는 하천


■ 추진계획표

개선목표

지표

추진계획

현재 

2006년

단기

1~2년

중기

5년이내

장기

10년 이내

하천과 지하수 수질보전

수질개선목표(BOD)

(신천)

1.6~29.6

9

8

6

지하수 

관리체계 구축

지하수 수질측정망 설치(개소)

7

10

15

20

지역문화의 중심이 되는 하천

하천 주변환경 만족도

(5점만점)

3

3.5

4.0

4.5



■ 그룹별 행동계획


○ 시민

 - 하천 살리기 운동에 적극 동참한다.

 - 하천변에 쓰레기나 오물을 버리지 않는다.

 - 합성세제 사용량을 줄인다.

 - 하천 이용현황 및 오염도측정 모니터링에 적극 참여한다.

 - 하천과 강가에 생태공원 조성 및 관리에 적극 참여한다.


○ 시민단체

 - 시민감시단을 조직하여 수질오염 감시를 실시한다.

 - 하천의 중요성에 대하여 충분히 알린다.

 - 각종 폐수정화시설의 운영 실태를 감시한다.

 - 합성세제 대신 천연세제 사용을 유도한다.

 - 모니터링에 대한 평가제를 구축한다.

 - 하천 환경음악제, 미술제, 글짓기 대회 및 체육행사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

 - 생태지도 작성을 위한 조사활동을 한다.


○ 기업

 - 환경오염 방지시설을 철저히 관리한다.

 - 하천에 방류하는 방류수는 완전히 오염원을 제거한다.

 - 하천 살리기 운동에 참여 및 적극 지원한다.

 - 각종 사업장 폐수, 생활 하수, 축산폐수 불법 방류를 하지 않는다.

 - 환경친화기업 지정에 최선을 다한다.

 - 1기업이 1하천을 맡아 평소 유지 ․ 관리를 지원한다.

 - 오염발생을 줄이는 청정기술개발에 노력한다.

○ 양주시

 -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수질오염 방지계획을 수립한다.

 - 하천정비는 자연형 하천으로 한다.

 - 하천을 생태학습 공원으로 조성한다.

 - 시민이 하천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시설을 만든다.

 - 하천 생태계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 수변에 식생군락지를 조성한다.

 - 하천의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시민에게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