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 동등한 참여로 통합적 지역사회 양주 만들기
■ 현황
<표 3-2-5> 전국, 경기도 및 양주시 등록 장애인 증가 추이
년도 |
전국(A) |
경기도(B) |
양주시(C) | ||
명 |
B/A(%) |
명 |
C/B(%) | ||
2003 |
1,454,215 |
273,382 |
18.8 |
4,397 |
1.61 |
2004 |
1,610,994 |
305,037 |
18.9 |
5,008 |
1.64 |
2005 |
1,777,400 |
342,153 |
19.3 |
5,783 |
1.69 |
[자료] : 1)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등록 장애인 현황
2) 양주시 내부자료, 2006.
최근 3년간의 전국의 등록 장애인구의 변화를 보면 각 년도 12월말 기준으로 2003년 1,454,215명, 2004년 1,610,994명, 2005년 1,777,400명으로서 연평균 10.6%의 증가율을 기록할 만큼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추세이다. 이렇게 증가된 것은 장애인 복지환경이 많은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그 중에서 가장 큰 이유는 장애인 범주가 15가지로 변화된 것에 기인될 것이고,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양적 증가와 질적 변화에 따라 장애 등록이 늘어난 것이며, 또한 후천적으로 발생이 늘어났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표 3-2-5>
경기도의 등록 장애인구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역시 2003년 273,382명, 2004년 305,037명, 2005년 342,153명으로서 전국 평균 보다 더 빠른 연평균 11.9%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양주시의 등록 장애인구 증가 추이는 2003년 4,397명, 2004년 5,008명, 2005년 5,783명으로서 최근 3년간 연평균 14.7%의 증가율을 기록하여 전국 및 경기도 평균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지역사회 생활 촉진에 그 기반을 두고 기초생활보장, 이용시설 확대, 문화활동 참여기회 확대 등 다양한 복지 서비스가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표 3-2-6> 양주시 분류별 등록 장애인 현황
(단위:명)
구분 |
지체장애 |
뇌병변장애 |
시각장애 |
청각언어 |
정신지체 |
기타1) |
계 |
양주시1) |
|
|
|
|
|
|
|
2003 |
59 |
7.9 |
9.8 |
8.8 |
7.7 |
6.8 |
(4,397) |
2004 |
57.6 |
8.8 |
10.1 |
8.6 |
7.6 |
7.3 |
(5,008) |
2005 |
56.4 |
9.5 |
9.9 |
9.0 |
7.3 |
7.9 |
(5,783) |
경기도2) |
55.0 |
9.5 |
10.4 |
9.3 |
6.8 |
9.0 |
(342,153) |
전국3) |
54.0 |
9.4 |
10.6 |
9.8 |
7.1 |
9.1 |
(1,777,400) |
<주>: 1) 기타에는 발달, 정신, 신장, 심장, 호흡기, 간, 안면, 장루‧요루, 간질 등이 포함됨.
2) 전국과 경기도는 2005년도 자료임.
[자료] : 1) 양주시 내부자료, 2006.
2) 경기도청, 2005 경기통계연보
3) 보건복지부, 내부자료
최근 3년간 양주시 등록 장애인 중에서 각 장애 유형이 차지하는 비중의 증가 추이를 보면, 뇌병변 장애인과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기타 장애유형에서 약간 비중이 높아졌으며, 지체 장애인과 정신 지체 장애인의 비중은 조금 감소하였다. 2005년 말 기준으로 양주시, 경기도, 전국의 등록 장애인의 장애 유형을 비교하면 , 양주시는 전체 장애인의 56.4%가 지체 장애인이었고, 다음 시각 장애인 9.9%, 뇌병변 장애인 9.5%, 청각‧언어 장애인 9.0%, 기타 장애인 7.9%, 정신 지체 장애인 7.2%를 차지하였다.<3-2-6>
이를 경기도 및 전국의 등록 장애인구와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양주시의 경우 시각 장애인과 청각‧언어 장애인의 비중이 경기도 및 전국 분포에 비해 약간 낮은 반면 지체 장애인과 정신 지체 장애인의 비중은 약간 높음을 알 수 있다.
■ 개선목표
▷개선목표 1 : 생산적 장애인복지 추진
▷개선목표 2 : 사회통합을 위한 인식개선
▷개선목표 3 : 사회참여 기회 확대
■ 추진계획표
개선 목표 |
지 표 |
추진 계획 | |||
현재 2006년 |
단기 1~2년 |
중기 5년이내 |
장기 10년이내 | ||
생산적 장애인 복지 추진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확충(개소) |
- |
1 |
3 |
5 |
사회통합을 위한 인식개선 |
장애 체험단 운영(개) |
- |
1 |
3 |
5 |
사회참여 기회 확대 |
편의시설 만족도(%) |
- |
30 |
60 |
90 |
■ 그룹별 행동계획
○ 시민
- 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활동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활성화에 적극 노력한다.
- 장애인 생산품을 최대한 구매한다.
- 장애 체험행사 및 체험단 운영에 적극 참여한다.
- 공공기관 및 시설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도록 힘쓴다.
-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 기업
- 장애인 자활시설의 후원이나 생산품을 최대한 구매한다.
- 장애 체험행사를 적극 후원한다.
-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에 적극 노력한다.
- 장애인 고용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한다.
○ 양주시
- 장애인 재활시설 확충을 통해 재활서비스를 강화한다.
- 장애체험행사를 기획하고, 장애 체험단 운영을 지원한다.
- 모든 건물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제 의무화 한다.
'만나면 좋은사람 정책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의 연탄봉사 (0) | 2009.12.23 |
---|---|
여성이 살고 싶어 하는 양주 만들기 (0) | 2009.08.10 |
즐겁고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노인생활환경 양주 만들기 (0) | 2009.08.10 |
아동 및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이 보장되는 양주 만들기 (0) | 2009.08.10 |
저소득층의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양주만들기 (0) | 2009.08.10 |